운영체제의 역사 (1970~1990)
1970년대: 제대로 된 운영체제의 등장
미국 AT&T 사의 벨 연구소의 켄톰슨과 데니스 리치에 의해 UNIX OS가 탄생하였다. 이를 기점으로 OS는 컴퓨터 과학에 있어 정말 핵심적인 소프트웨어가 되었다.
UNIX는 현대 운영체제의 기본 기술을 모두 포함한 최초의 운영체제로, 멀티 태스킹, 시분할 시스템, 멀티프로그래밍 등 1960년대에 제안된 운영체제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고 있어 다중 사용자의 사용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이다.
UNIX OS는 C언어로 개발되었다. 1970년대 이전 Assembly 언어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는데, Assembly는 CPU 명령어와 메모리 주소를 직접 지정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 탓에, Assembly 언어로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각 컴퓨터마다 다시 그에 맞게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런데, 1970년대, 데니스 리치에 의해 개발된 C 언어는 CPU 명령어를 직접 써줄 필요도 없을뿐더러, 메모리 주소 또한 물리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없었다. 이는 컴파일러(compiler)의 개념에 의해 이루어진 혁신이었다.
이로 인해, 여러 컴퓨터의 다양한 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줄어들게 되었고, 이는 OS의 개발에 힘을 실어주었다. 물론 C 언어가 없었어도 개발은 가능했을 수도 있으나, 굉장히 힘들었을 것이고 시간 또한 말도 안되게 오래 걸렸을 것이다.
1980년대: 개인용 컴퓨터의 시대
1980년대 이전에는 대형 컴퓨터를 여러 명이 접속해서 사용하는 형태였다. UNIX 등의 OS가 시분할을 통해 다중 사용자를 지원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인데,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점차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가 등장하였다.
사용자와 운영체제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인터페이스(Interface)가 필요한데, 이에는 크게 두 가지가 존재한다.
- CLI (Command Line Interface): 흔히 '터미널'이라 부르는 것으로, 커맨드 라인 명령어를 통해 OS 등과 소통하는 툴을 의미한다.
-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마우스 등의 외부 입력장치를 통해 직관적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툴을 의미한다.
일반인에게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인터페이스의 형태에도 큰 변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1980년대 중후반을 기점으로 기존의 CLI 방식에서 직관적인 GUI 방식으로 변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로 인해 컴퓨터에 대한 진입 장벽이 다소 낮아지면서 점차 널리 퍼지게 되었고 비로소 개인용 컴퓨터의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1990년대: 응용 프로그램의 시대
1980년대에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사용자의 수가 증대되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도와주는 Excel, Word processor 등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이 대거 개발되었다. 또한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Windows OS가 Window 95를 시작으로 대중화되기 시작한 시점 또한 90년대이다.
이러한 사용자 수 증가와 함께 네트워크 기술 또한 폭발적으로 발전하였다. 흔히 월드와이드웹(WWW)이라고 하는 인터넷 기술이 대중화되었다. 이로 인해 점차 물리적 한계를 넘어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해졌다.
또한 오픈 소스 운동이 활성화 되기 시작했는데, 이로 인해 컴퓨터 과학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였고 이러한 상황 속에 리눅스(LINUX) OS가 등장하였다. 리눅스는 오픈 소스 운동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기 때문에 기타 OS와 달리 별도의 비용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소스가 오픈되어 있어 다양한 사람들이 이것의 발전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게 되었고 지금까지도 꾸준히 사랑받는 OS가 될 수 있었다.
2000년대: 오픈 소스의 활성화
오픈 소스인 리눅스(LINUX) 운영체제가 활성화되었으며, 이외에도 웹서버인 아파치(Apache), 데이터베이스인 MySQL 등 다양한 오픈 소스가 등장하였다. 또한 가상머신과 클라우드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물리적인 리소스를 넘어서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으며 대용량 병렬처리 기술 등의 발전으로 컴퓨팅 속도가 빨라졌다.
* 운영체제를 좀더 쉽게 이해하고 싶다면? 다음 글을 읽어보자. 개인적으로 상당히 쉽고 재밌게 설명한 좋은 글이라고 생각한다.
레스토랑에 비유해서 알아보는 운영체제 | 요즘IT
오늘은 간만에 좀 흥미로운 주제로 글을 써보고자 합니다. 바로 운영체제입니다. 그런데 이제 뜬금없이 레스토랑을 곁들인…이 주제를 선택한 이유는 지금 운영체제 수업을 듣고 있어서 그런
yozm.wishket.com
'컴퓨터 공학 기본 > 운영체제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 운영체제 (0) | 2023.04.15 |
---|---|
04. 운영체제 구조: 시스템 콜 (0) | 2023.04.15 |
02. 운영체제의 역사 (1950~1960) (0) | 2023.04.15 |
댓글